2012. 2. 20. 16:30
이제 본격적인 설정! 

올것이 왔다...

작성 목적은 나중에 이걸 까먹는다거나 하면 한번씩 보려고 하는것도 있고

나처럼 몰라서 삽질을 하는 사람들이 없길 바라면서 작성한다.

 

 


위에 다이나밉스 설치를 했을 때 설치된 파일을 클릭한다.

저건 현재 네트워크 장비의 NIO를 나타내준다. 이걸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는다.


 

 

붙여넣으면 이 정보는 이제 다이나밉스의 net파일에 적용할 것이다.

다이나밉스의 net폴더에 보면 *.net파일이  많이 있다.


 

 

 

일단은 4switchs-pc-ms.net파일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보려고 한다.

이는 총 8개의 라우터가 있으며

라우터 4개, 스위치 4개로 구성되어있다.




 

 

 

이 부분이 참 중요하다. 핵심 포인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로컬의 라우터 정보를 router r4부분에

가상의 라우터(loop back adaptor) 정보를 sw1부분에 정보를 입력해준다.

 

위 그림을 똑바로 보고 해야한다. 안그럼 secureCRT를 실행 했을 때 꼬이는 수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net파일을 수정햇으면 이제 수정한 net파일을 사용하기위해 path를 잡아줘야 한다.

path성정은 CCNP.cmd파일에 한다. 

 


 

설정할 net파일의 이름 외에는 default로 되어있는 path는 건들지 않는것이 정신 건강에 좋다.

그렇고 이제 그림처럼 net파일 이름만 바꿔주면 일단은 path설정은 완료다 !


 

 

 

이제 다이나밉스 폴더에 보면 Virtual Service for XP&2003.bat 파일이 있다.

이름은 저렇지만 윈도우즈 7(필자는 64bit Ultimate K ver.)에서도 문제없이 잘 돌아갑니다.

  

 

서버를 켯으니 CCNP.cmd를 실행하면 net파일의 라우터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State가 stopped되어 있으므로 실행을 시켜준다.

 

이는 console 값이 큰 sw1부터 실행한다.

start sw1 sw2 sw3 sw4 라고 입력하면 라우터 4개가 한번에 실행된다.

하지만 실행을 할 때는 cpu점유율이 100%가 된다. 아마 10초정도 상태가 100%로 된다.

이떄는 잠시 아무실행도 하지말고 점유율이 내려갈 때까지 기다리는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뻑이 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sw1을 실행하고 위에 명령어와 마찬가지로 r1 r2 r3  r4 도 실행해준다.

 

라우터가 정상적으로 실행 된다면 설정 완료 !!!!!!!

 

ㅅㄱ하셧습니다 ! ! ㅋㅋ

임무 了 !!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ureCRT 설정  (0) 2012.02.20
윈도우즈 7에서 Loop Back Adaptor Network추가  (0) 2012.02.20
Dynagen, Dynamips 설치  (0) 2012.02.20
Window7 에서 host IP LOCK 해제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6:22

 

 

secureCRT 설치는 키젠을 상요할 줄만 알면 설치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것으로 생각한다.

일단은 설치파일과 키젠이다.

 


 

일단 설치를 진행한다.


 

다음다음다음만 잘 누른가면 설치가 잘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키젠을 secureCRT가 설치된 폴더로 복사한다.


 


 

이름과 회사 이름을 입력하는 곳에 아무거나 입력을 한 후 generate를 클릭하면

시리얼 넘버와 생성날짜 라이센스 키가 생성이 되된다.

 

지금 중요한것은 생성된 저 키들보다 패스설정을 해주는것이 더 중요하다.

일종에 크랙같은 형식이라 그런것 같다.


 


 

키생성을 한 후 패스 버튼을 누르게 되면 위에 보이는 백업 폴더가 생성되고 설치할 때 생성된 싱행파일이 저기로 옮겨진다.

그리고 키값에 맞는(?) 실행파일이 생성이 된다. 솔직히 이 부분은 이게 맞는건지는 모르겠는데 얼핏 들은거 같다..........;; ㅈㅅ


 

 

무튼 ( 백업폴더에 있는 실행파일 말고 ) 실행파일을 실행하게되면
라이센스를 입력하라는 경고장이 나온다.

그럼 이제 생성한 키들을 하나하나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아래 그림을 참조하면 된다.



  

설마 이걸 못하진 않겠죠? ㅋ

 설치 了 !!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6:14

몰랏을땐 정말 짜증 그 자체였다.

윈xp에서는 그냥 제어판에서 할 수 있었는데

도통 뭐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는 거다....윈7에서는.....;;

 

알게된 지식을 조금이나마 나누고

다음에 내가 삽질을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글을 작성한다....ㅠ 서두가 긴 이유는...............삽질을 많이 해서 ㅠ

 



위에서 보는거와 같이 이거 명령어를 치면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가 실행된다.

이걸 찾으려고 삽질을 한거다.....................

아래 과정은 xp와 동일하다.


 


 

쎈쓰있게 이름도 바꿔주고 ㅋㅋㅋㅋ

 



 

 

cmd에서 ipconfig 하면 저딴식으로 나온다 ㅋㅋㅋ

 

그럼 loop back adaptor는 임의의 IP address를 부여한다.

부여한 IP address는 기억하고 있는것이 좋겠다...ㅋ

이상 ! ㅋㅋ

설정 了 !!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6:08

Dynagen을 설치해보자 ~ ! 

 

이건 쉽다 ㅋ

그냥 다음다음다음다음 누르기만 하면 설치가 된다.



 

 

그리고 다이나젠을 설치 했으면 다이나밉스(Dynamips)를 설치한다.

밑에 두개의 설치파일을 설치해야 한다.

(/Dynamips/setup 폴더에 있음)

 

 

설치를 다 하게되면 밑에 파일이 생성된다 ! 확인되면 다이나밉스 설치 완료!!


설정 了 !!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6:02

주석처리를 해제하지 않으면 나중에 다이나밉스 서버를 구동할 때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반드시 주석을 제거하고 설정을 시작하는것이 좋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

폴더에 들어가면 hosts라는 파일이 있다.


 

 

메모장이나 기타 편집툴을 이용해서 들어가보게되면

127.0.0.1 localhost부분이 #으로 주석처리 되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석을 해제하고 저장을 한다.

이떄 관리자 권한이 없을 시에는 저장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관리자 권한을 얻어서 실행을 해야 한다.

이것은 보안설정을 제일 낮게 맟추고 관리자권한으로 설정을 하면

해결된다.

설정 了 !!
Posted by blu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