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에 해당되는 글 7건

  1. 2012.02.20 Ajax 맛보기 !!
  2. 2012.02.20 Ajax란???
  3. 2012.02.20 간단한 프로그래밍 작성
  4. 2012.02.20 HTML문법
  5. 2012.02.20 웹페이지의 종류
  6. 2012.02.20 JSP를 시작하기 전에....
  7. 2012.02.20 HTTP Error Code List
2012. 2. 20. 18:22

CNN실시간 뉴스를 불러와 보도록 하자 !!

일단 원리를 설명하자면....

내가 만든 HTML페이지에서 CNN홈페이지의 웹 서버어플리케이션에 직접 접근을 할 수 없다. 절대 네버 불가능하다.


안돼는 이유...

자바스립트(클라이언트 코드)에서 바로 다른 사이트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읽어서 보여주려할 때.....서로 충돌 한다.(정확한 표현인지는 모르겟음...여튼..)

Ajax도 마찬가지로 자바스크립트로 되어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코드에 속한다. 이건 당연한 얘기 !  

비동기 요청으로 다른싸이트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려하니 마찬가지로 접근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접근을 할 수 있을까???

Ajax를 사용한다면 간단?? 하게 불러올 수 있다.

이것은 웹서버에 직접 접근을 하는 방법이 아니라 CNN홈페이지에 링크를 통해서 우회접근을 하면 가능하다.


전문용어로 얘기 하자면 실시간으로 다른 도메인의 내용을 읽어서 보여주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코드와 서버코드가 서로 협조해서 작업을 해야하는데 이게 어긋나는 것이다. XMLHttpRequest객체는 자신의 싸이트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보안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 그래서 다른 도메인에는 접속을 할 수 없으므로 ~!~! XMLHttpRequest객체가 접속 가능한 서버에 프락시 서버로 사용된 프로그램을 두고 XMLHttpRequest객체가 그 프락시 서버 프로그램에 접속을 한다면 !! 가능해 지는 것이다...!


소스코드를 공개 할까 말까 이 내용을 작성 할까말까잡혀가는거 아닌가 생각을 많이 하다가 

서버를 해킹해서 접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나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판단....올리기로 결심했다.

말없이 글이 안올라간다면 필자 잡혀간거다 ㅠㅠ이런것이 있다고만 알고 악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오바했나?)


일단 CNN뉴스 링크로 들어간다..




우리가 필요한 것 즉 링크로 되어있는 것은 제목과 거시기.mp3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스코드를 보면 이렇다..

일단 CNN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우클릭후 소스보기를 한다.




전혀 알수가 없다......



다운로드 링크는 구지 달지 않으련다....그냥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나옴...




이렇게 해도 모르겠다.....하지만 알록달록 구분하게는 잘 되었다...

그렇다면 아까 우리가 중요하다고 한 두가지 제목과 거시기.mp3 !!




요딴거 두개....


ctrl+f .mp3 CNN News Update 를 검색하면 !!




요딴거 여섯개와



요딴게 <title>태그에 제목이 쓰여져 있다.




나이스다...굳잡 !


그렇다면 프로그램 소스 짜는 문제는 시간문제...!!



<!--cnnnews.jsp 페이지-->


 

Jsp페이지에서 간단한 JAVA소스로 HTML이나 xml(VIEW페이지를) 긁어올 수 있다.


그렇다면 긁어온 페이지를 아까 위에서 본 링크로 식별해서 링크만 따오면 된다 !

밑에 소스를 보면 알 수 있다.


<!-- cnnView.jsp -->


 

여기서 firstChildnodeValue건 궁금한 것들이 많겠지만 아직은 설명하지 않겠다.

Ajax 첫 강의 자료를 올릴 때 그때 자세히 설명을 해주겠다 !!





클릭을 한다면 요딴식으로 다운로드창이 나오고




재생을 할 수도 있다 !!


 


노래듣다가 클릭하면 겁나게 짜증난다....리듬감 없이 쌩으로된 영어가 귓속에 팍팍 박힌다...@_@...



이번 강의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이렇게 되지? 라는 궁금증만 안고 갓으면 좋겠다.

절대로 이해해달라고 얘기는 하지 못한다

지금 이런것을 한번에 알려고 노력해도 이게 무슨 멍멍이 소리인가 생각할테니 말이다.


일부러 소스코드는 이미지로 올렸으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따라서 타이핑 해보기를 바란다.

타이핑 해본사람은 분명히 도움이 된다 !

그리고 필자가 작성한 Ajax수업을 들으면서 어느정도 감을 잡은 후에 이 소스를 다시 본다면 이해가 갈 것이다 !!

그리고 그 후에는 창작의 날개를 펼 수 있을 것이다..

 


了 !!

'Web > Aj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jax란???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7:48
Ajax를 공부하기 전에 !!


Ajax기법을 설명 드리자면 웹 2.0세대가 오면서 기존 에 상위에 있던 기업들이 다 쓰러지고 다른 신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상위를 차지했던 시기다. 예를들라이코스, 한미르등등 기존에 최고 주가를 가지고 있던 웹 엔터테이먼트 들이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Daum, Naver등이 살아남은 것 이 예다. 이 기점 을 웹 2.0세대라고 하는데 이것을 실행시킨 기술이 바로 Ajax기술인 것이다. Ajax는 단순히 JavaScript가 아니라 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을 할 수도 있고, 동적으로 다른 웹페이지의 정보를 가지고 올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Naver페이지를 예로 들면 웹 검색엔진의 검색어를 입력할 때 키보드 자판을 누를 때 마다 검색할 수 있는 단어들이 밑으로 생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검색어 하나하나 입력 할 때 마다 데이터 베이스에 Connection하여 얻어온 값을 화면에 뿌려준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이렇게 원하는 테이블의 공간만 고쳐줄 수도 있고 그냥 단순히 고치는 것만이 아니라 세션값도 그대로 얻어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검색어 인데




마우스를 갇다 댓을 1위부터 10위까지의 정보를 가져 오는 페이지 역시 Ajax. Ajax의약자는 비 동기 자바스크립트와 XML, Asynchronous JavaScript + XML의 뜻을 내포하고 있고, Ajax의 작업 패턴으로 는 두 가지가 있는데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작업 패턴방식은 그림으로 설명 드리면,





이 그림은 사용자의 요청을 보냈을 시 사용자는 서버 의 응답이 올 때까지 어떠한 다른 화면도 볼 수 , 위의 그림과 같이 요청을 보냈다면 서버의 응답 을 받고 다시 진행하고 다시 보내고 하는 형태로 브라우저의 결과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패턴인 Ajax 애플리케이션 작업 패턴은




위와 다르게 사용자의 요청을 보냈어도 사용자는 현재 웹 브라우저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고, 서버의 응답이 왔을 때 응답결과를 바로 페이지의 전환 없이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JAX의 장점 / 단점

간단명료하게 페이지의 전환 없이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고, UI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구글 맵과 같이 페이지의 전환이 없이 마우스의 드래그로 위치 정보를 바로 화면에 보여 질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 예를 들면 웹에서 구현되는 웹 오피스 같은 웹 어플 이랄까.. 네이버 가계부 와 캘린더도 Ajax 기술을 이용해 서 개발된 것이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Ajax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Ajax는 자바스크립트가 지원이 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먹통'이 된다. Ajax로 개발 시 IE, 파이어 폭스, 오페라, 사파리 등 여러 브라우저에 호환 되게 개발해야 할 것이고, 자바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도 사용자가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자바스크립트이기 때문에 보안에 아주!!!!!!취약한다. 방법을 여기서 설명하긴 뭐하지만 일단 기본적인 예로 웹 페이지에서 우클릭후 소스보기를 하면 소스가 모두 ! 공개된다. 해커는 아주 좋아하겠지만..이건 여기까지만 설명하기로 하고...


마지막으로 Ajax는 특정한 웹 언어에 종속적이지 않다. 자바 스크립트의 일부분이며 결국 서버에서 얻어온 특정한 데이터 형식(XML, JSON, TEXT, HTML )에 따라 가공해주어 표출해주면 된다


了 !!

'Web > Aj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jax 맛보기 !!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7:43

웹서핑좀 한다 하면 모두 익숙한 회원가입 페이지를 만들어보겠다.

사용한 툴은 이클립스 GALILEO버젼이다.

프로젝트를 만들고 WebContent 에 HTML페이지 하나를 생성한다.

생성해서 아래 코드 작성.!

이름을 member.html이라고 하겠다.


이 페이지를 실행한다면 이렇다.





HTML페이지 작성 후

JSP페이지를 하나 더 만든다.

이름은 memberInfo.jsp로 하겠다.


자바코드를 JSP페이지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을 하려면 <% JAVA코드 %>
이 태그안에 등록을 해야 한다.

JSP페이지 내에서 기본적으로 지원을 해주는 객체가 있는데
그 중에 중요한것은 request객체과 response객체이다.

JSP페이지 내에서는 요청과 응답이 자바페이지에서보다 자유롭다는것을 기억해 두도록 하자 !!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자바코드를 작성하는데 main()메서드가 없다는것이다.

그리고 클리스며 메서드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코드만 작성하면 된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 두가지만 기억하자 !!


이전 강의때 소개 해 드렸지만 이 코드를 보고 어떻게 모양이 나올지 예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HTML을 숙지 하셧으면 한다.

대충 예상 하셧겠지만 ? 결과페이지는 이렇다 !




예상하셧는지 모르겠지만 한글처리가 안되어 깨져서 요딴식으로 나오는것을 볼 수 있다.

정말 주의 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페이지별로 한글처리가 잘 되어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놓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을 하다가 한글처리가 안댄 결과페이지를 보면 정말 짜증 이빠이 데스네 다...


자 그럼 한글처리를 어떻게 하면 대는가??


간단하다..

페이지 시작부분에 <%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만 입력해주면 된다.




한글처리시 정말 중요한 부분은 페이지 시작지점에 해야한다는 것이다.

중간에 해놓고 "아 ㅅㅂ 한글처리 했는데 왜 한글이 꺠지는거야!!"라고 하는일이 없도록 하자!!



그럼 요딴식으로 잘 나온다 !!



了 !!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7:25

 

일단웹 프로그래밍 언어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는 언어와 서버 측에서 실행되는 언어로 나뉘는데 실제로 우리가 인터넷을 할 때 우리의 웹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웹 서버가 서버가 되어서 서로 상호작용(요청과 응답)을 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정보조회입력 등을 요청하고 서버가 그것을 받아 처리해서 클라이언트에게 다시 보내준다.

여기서 HTML은 클라이언트 측의 언어입니다일단 HTML을 어느 정도 배우면 아주 간단한 웹문서는 만들 수 있다.


물론 HTML만 이용해서 짠다는 것은 막장임을 명심!!


1. 기본구조

<html></html>

<head></head>     글 머릿말

<body></body>     본문

<title></title>  

<Hn></Hn>           표제 부분에 들어갈 말을 정의. 1~6까지의 숫자를 사용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표제는 작아짐 defalut H4

<!--주석-->             주석을 달거나 잠시 이미지를 보이지 않게 할때 사용

 

2. 문단 혹은 줄을 바꾸는 태그
<P>                   문단을 바꾸는 태그 줄 바꿈과 동시에 줄을 띈 것같은 효과
<BR>                 
문단을 바꾸는 태그 줄 바꿈의 역할만 수행
<PRE></PRE>       여백이나 줄 간격 등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


3. 글자의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태그
<FONT SIZE = n></FONT>          글자의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두의 숫자는 1~7까지며 7이 가장 큰 크기  default 3

 

4. 선 그리기 태그
<HR align =  width =  size =  >   입체적인 선을 그려줌 align은 선의 정렬 width는 선의 폭 size는 선의 높이


5. 목록을 정리해 주는 태그
<UL></UL>            순서가 없는 목록일반적인 나열
<OL></OL>             순서가 있는 목록
위에서부터 번호 매김
<Menu></Menu>     
메뉴 목록으로 그리길지 않은 문장의 열거에 사용
<DIR></DIR>          디렉토리
 목록으로 메뉴 목록보다 짧은 문장을 나열
<DL></DL>            정의 목록 태그 <LI>가 아닌<DT>와 <DD>를 사용

 

6. 문서를 가운데로 정렬시켜 주는 태그
<center></center>   전체 문장을 가운데로 정렬

 

7. 인용하기 태그
<blockquote></blockquote>  문장 내에서 인용을 할 경우 들여쓰기를 한 후 인용구로 처리

 

8. 글자의 모양을 정의해 주는 태그

<Strong></Strong> , <B></B>               굵은 글씨를 나타내 주는 태그
<EM></EM>, <I></I>                              이탤릭체의
 글씨를 나타내 주는 태그
<KBD></KBD>, <CODE></CODE>, <TT></TT> 타자기체의 글씨를 나타내 주는 태그


9. 배경 이미지 작업하기
<body background="">   배경 이미지 띄어줌
<body = "#nnnnnn">      배경 색깔을 지정


10. 그 밖의 태그들
<DFN></DFN>      정의되어지는 단어에 대한 것
<CITE></CITE>    
책이나 사진 등의 제목
<SAMP></SAMP>   컴퓨터상에 메세지

<VAR></VAR>      이탤릭체
<SUB></SUB>      첨자에 관함 태그
<SUP></SUP>       윗첨자

<Basepoint>...<Basepoint기본적으로 미리 약속된 크기를 다시 정할때 사용


11. 부분을 강조해 주는 태그
<Blink></Blink>   글자를 깜박이게
<U></U>            글자에 밑줄


12. 연결하기 태그
<A href=""></A>    다른 홈페이지와 연결
<A name=""></A>   자신의 홈페이지 내에서 연결


13. 색상 지정하기
<body text="#nnnnnn"></body>   글자색을 지정
<body link="#nnnnnn"></body>      
하이퍼링크의 색을 지정
<body vlink="#nnnnnn"></body>    한번 누른적이
 있는 하이퍼링크의 색을 지정
<body alink="#nnnnnn"></body>    누르고 있는 동안의 색을 지정

 

14. 표 만들기 태그

<table border></table>   표의 전체 형식을 나타냄
<tr><td></td></tr>        
표 내부에 들어갈 형식을 정의
<td colspan=n>            가로칸을 n
만큼 합쳐줌
<td rowspan=n>           세로칸을 n
만큼 합쳐줌
<td align= >                 표안의
 좌우 정렬 방식을 정의
<td valign>                 표안의 상하 정렬 방식을 정의


빠진 부분이 있더라도 지금 지금은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이것밖에....

댓글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了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페이지의 종류  (0) 2012.02.20
JSP를 시작하기 전에....  (0) 2012.02.20
HTTP Error Code List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7:24

 

정적 웹 페이지
- 브라우저 상에 출력되기 전에 이미 페이지의 모든 내용이 결정

동적 웹 페이지
-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하는 시점마다 페이지를 새롭게 구성


동적 웹 페이지 작성 기술

-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 정식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지만, 서버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규칙

- CGI 방식의 문제점

    =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독립적인 프로세스가 각각 생성됨

    = 따라서, 다수의 브라우저가 동일한 URL로 동일한 CGI 실행을 요청하면 요청개수 만큼 프로세스를
     중복해서 생성


애플리케이션 서버 방식의 동적 웹 페이지 작성 기술

-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스크립트를 호출하여 수행 (Tomcat 이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 서버)

- CGI 보다 좋은 점

    = 다수의 브라우저가 동일한 요청을 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크립트에 대한 프로세스를 하나
     만 수행

    = 따라서, CGI 방식에 비해 CPU 사용률과 메모리 사용률을 줄일 수 있음

    =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JSP?

- 자바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스크립트 언어


JSP를 사용하는 이유

- 자바언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플랫폼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 자바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더라도 쉽게 배울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그림에 대한 부연설명을 쉽게 하자면...

만약 로그인을 한다고 가정을 하자.

웹브라우저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 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했을 때 ①웹서버로 요청을 하여 ②-③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후 ④요청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웹서버에 알려주면 ⑤결과페이지를 보여준다(요청에대한 응답을 한다) 라고 할 수 있다.

了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문법  (0) 2012.02.20
JSP를 시작하기 전에....  (0) 2012.02.20
HTTP Error Code List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7:20


JSP는 ASP와 .net처럼 모델1 기법을 지원하고는 있지만 JSP를 한다고 하면 기본적으로 "모델2기법을 할 수 있다"라는 얘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델2 기법이란 MVC기법을 말하는데 MVC기법은 코드를 분리함으로서 얻어지는 이득을 고려해서 생긴 기법이기도 하다. 여기서

M이란 Model
즉 JSP에서 쉽게 말하자면 JAVA코드가 되겠고,

V는 View
즉 HTML코드가 되겠다.

마지막으로 C는 Controller
즉 JAVA코드와 HTML코드를 연결시켜주는 것.
여기서 Controller는 Framework가 될 수도 있고, 자바코드 내에서 직접 연결을 시켜줄 수도 있다.
Controller의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는 Struts(스트럿츠)가 있다.

MVC기법은 코드를 분리함으로서 프로그램이 어려워짐(프로그래머가 힘듦)과 개발비용의 증가, 개발 기간이 오래걸리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코드를 부리함으로서 가독성이 좋고, 유지보수가 좋다는 막강한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개발에 있어서 개발비용이 3~4 라 하면 유지보수비용이 6~7정도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있다.
하지만 초기 개발비용이 조금 많이 들어도 유지보수 비용은 반 으로 줄어드니 금전적인 측면에서는 훨씬 이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코드를 분리해야 한다.....프로그램의 흐름을 알면 MVC도 쉽게 정복할 수 있다 !!
나는 블로그에서 모델1 기법보다는 모델2기법을 기반으로 설명을 하려고 한다.
자료를 모으는것 말고 직접 내가 경험한 Fuck한 경험들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블로그를 찾아와 주시는 분들꼐 감사하다는 말씀과 설명이 허접해도 이해해 주실거라고 믿으면서
주저리주저리는 마치겠다.

了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문법  (0) 2012.02.20
웹페이지의 종류  (0) 2012.02.20
HTTP Error Code List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
2012. 2. 20. 17:05


HTTP 에러 코드표
 
100: Continue
101: Switching Protocols
200: OK, 에러없이 전송 성공
202: Accepted,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받음.
203: Non-authoritavive Information,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구중 일부만 정송
204: Non Content, 클라이언트 요구를 처리했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205: Reset Content
206: Partial Content
300: Multiple Choisces, 최근에 옮겨진 데이터를 요청
301: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된 임시 URL에서 찾았음.
302: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가 변경된 URL에 있음을 명시.
303: See Other,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음.
304: Not modified
305: Use Proxy
400: Bad Request, 요청실패문법상 오류가 있어, 서버가 요청사항을 이해하지 못함, 클라이언트는 수정없이 요청사항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401.1: Unauthorized, 권한 없음 (접속실패)이 에러는 서버에 로그온 하려는 요청사항이 서버에 들어있는 권한과 비교했을 때 맞지 않을 경우 발생한다. 이 경우, 여러분이 요청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기 위해 서버 운영자에게 요청해야 할 것이다.
401.2: Unauthorized, 권한 없음(서버설정으로 인한 접속 실패)이 에러는 서버에 로그온 하려는 요청사항이 서버에 들어있는 권한과 비교했을 때 맞지않을 경우 발생한다. 이것은 일반적을 으로 적절한 www-authenticate head field를 전송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401.3: Unauthorized, 권한 없음(자원에 대한 ACL에 기인한 권한 없음)이 에러는 클라이언트가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이 자원은 페이지가 될 수도 있고 , 클라이언트의 주소 입력란에 명기된 파일일 수도 있다. 아니면 클라이언트가 행당 주소로 들어갈 때 이용되는 또 다른 파일일 수도 있다. 여러분이 접근할 전체 주소를 다시 확인해 보고 웹 서버 운영자에게 여러분이 자원에 접근할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해 본다.
401.4: Unauthorized, 권한 없음(필터에 의한 권한 부여 실패)이 에러는 웹 서버가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한 필터 프로그램이 있음을 의미한다. 서버에 접속한는 데 이용되는 인증 과정이 이런 필터 프로그램에 의해 거부되었다.
401.5: Unauthorized, 권한 없음(ISA PI/CGI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권한부여 실패)이 에러는 여러분이 이용하려는 웹 서버의 어드레스에 ISA PI나 CGI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권한을 검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버에 접속하는 데 이용되는 인증 과정이 이 프로그램에 의해 거부되었다.
402: Payment Required, 예약됨.
403.1: Forbidden, 금지(수행접근 금지)이 오류는 CGI나 ISAPI,혹은 수행시키지 못하도록 되어있는 디렉토리 내의 실행 파일을 수행시키려고 했을 때 발생한다.
403.2: Forbidden,  금지(읽기 접근 금지)이 에러는 브라우저가 접근한 디렉토리에 가용한 디폴트 페이지가 없을 경우에 발생한다. 아니면 Eecute나 Script로 분한이 부여된 디렉토리에 들어있는 HTML페이지를 보려했을 때 발생한다.
403.4: Forbidden,  금지(SSL 필요함)이 에러는 여러분이 접근하려는 페이지가 SSL로 보안유지 되고 있는 것일 때 발생한다. 이것을 보기 위해서 여러분은 주소를 입력하기 전에 먼저 SSL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03.5: Forbidden,  금지 (SSL 128필요함)이 에러는 접근하려는 페이지가 SSL로 보안유지 되고 있는 것일 때 발생한다. 이 자원을 보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브라우저가 SSL의 행당 레벌을 지원해야 한다. 여러분의 브라우저가 128비트의 SSL을 지원하는 지를 확인해 본다.
403.6: Forbidden,  금지(IP 주소 거부됨)이 에러는 서버가 사이트에 접근이 허용되지 않은 IP주소를 갖고 있는데, 사용자가 이 주소로 접근하려 했을 때 발생한다.
403.7: Forbidden,  금지(클라이언트 확인 필요)이 에러는 여러분이 접근하려는 자원이 서버가 인식하기 위해 여러분의 브라우저에게 클라이언트 SSL을 요청하는 경우 발생한다. 이것은 여러분이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상용자임을 입증하는데 사용된다.
403.8: Forbidden,  금지 (사이트 접근 거부됨)이 에러는 웹 서버가 요청사항을 수행하고 있지 않거나, 해당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한다.
403.9: Forbidden, 접근 금지(연결된 사용자수 과다)이 에러는 웹서버 BUSY 상태에 있어서 여러분의 요청을 수행할수 없을 경우에 발생한다. 잠시 후에 다시 접근해 보도록 한다.
403.10: Forbidden,  접근금지(설정이 확실 하지 않음)이 순간 웹 서버의 설정쪽에 문제가 있다.
403.11: Forbidden,  접근금지(패스워드 변경됨)이 에러는 사용자 확인단계에서 잘못된 패스워드를 입력했을 경우 발생한다. 페이지를 갱신한 후 다시 시도해 본다.
403.12: Forbidden,  접근금지(Mapper 접근 금지됨)여러분의 클이언트 인증용 맵이 해당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이 거부되었다. 사이트 운영자에게 클라이언트 인증 허가를 요청한다. 또한 여러분은 여러분의 클라이언트 인증을 바꿀 수도 있다.
404: Not Found, 문서를 찾을 수 없음.웹 서버가 요청한 파일이나 스크립트를 찾지 못했다. URL을 다시 잘 보고 주소가 올바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해본다.- 해결방법: a.도구 ▶ 인터넷옵션 ▶ 일반 ▶ 쿠키삭제, 파일삭제, 목록지우기                  b.도구 ▶ 인터넷옵션 ▶ 고급 ▶ [URL을 항상 UTF-8FH로 보냄] 체크 해제.
405: Method not allowed, 메쏘드 허용안됨Request 라인에 명시된 메쏘드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자원의 이용이 허용되지 않았다. 여러분이 요청한 자원에 적절한 MIME 타입을 갖고 있는지 확인해 본다.
406: Not Acceptable, 받아들일 수 없음요청 사항에 필요한 자원은 요청 사항으로 전달된 Acceptheader에 따라 "Not Acceptable"인 내용을 가진 Response 개체만을 만들 수 있다.
407: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대리(Proxy) 인증이 필요함해당 요청이 수행되도록 proxy 서버에게 인증을 받아야 한다. proxy서버로 로그온 한 후에 다기 시도해 본다.
408: Request timeout, 요청시간이 지남
409: Conflict
410: Gone,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411: Length Required
412: Precondition Failed, 선결조건 실패Request-header field에 하나 이상에 선결조건에 대한 값이 서버에서 테스트 결과 FALSE로 나왔을 경우에 발생한다. 현재 자원의 메타-정보가 하나 이상의 자원에 적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클라이언트 선결조건이 의도되어졌다.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414: Request-URI too long, 요청한 URI가 너무 길다요청한 URI가 너무 길어서 서버가 요청 사항의 이행을 거부했다. 이렇게 희귀한 상황은 아래와 같은 경우에만 발생한다. 클라이언트가 긴 탐색용 정보를 가지고 POST 요청을 GET으로 부적절하게 전환했다. 클라이언트가 Redirection문제를 접하게 되었다. 서버가, 몇몇 서버가 사용하고 있는 요청한 URI 를 읽고 처리하는 고정된 길이의 메로리 버퍼를 이용해 보안체계에 들어가려는 , 클라이언트에 의한 공격을 받고 있다.
415: Unsupported media type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내부 오류웹 서버가 요청사항을 수행할 수 없다. 다시 한 번 요청해 본다.
501: Not Implemented, 적용안됨웹 서버가 요청사항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에러가 발생한 URL을 확인한 후에, 문제가 지속될 경우에는 웹 서버 운영자에게 연락한다.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 상태 나쁨/서버의 과부하 상태Gateway나 proxy로 활동하고 있는 서버가 요구 사항을 접수한 upstream 서버로부터 불명확한 답변을 접수 했을 때 발생한다. 만약 문제가 지속된다면 웹 서버 운영자와 상의해 본다.
503: Service Unavailable,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현재 멈춘 상태 또는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서버는 현재 일시적인 과부하 또는 관리(유지,보수) 때문에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이것은 약간의 지연후 덜게될 일시적인 상태를 말한다.Retry-After 헤더에 지연의 길이가 표시하게 될지도 모른다.만약 Retry-After를 받지 못했다면 클라이언트는 500 응답을 위해 하고자 했는것처럼 응답을 처리해야 한다. 상태코드의 존재는 서버가 과부하가 걸릴때 그것을 사용해야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몇몇 서버는 접속을 거부하는 것을 바랄지도 모른다.
504: Gateway timeout
505: HTTP Version Not Supported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문법  (0) 2012.02.20
웹페이지의 종류  (0) 2012.02.20
JSP를 시작하기 전에....  (0) 2012.02.20
Posted by bluetails